[PS2][공략] 피파 사커 월드 챔피언 십 (FIFA Soccer World Championship)

월드컵을 당신의 손에

피파 사커 - 월드 챔피언 십

SPG EA스포츠 5256,800

 

EA스포츠의 PC주력 축구 게임인 피파 사커가 PS2로 등장했다.

시리즈마다 다른 조작감으로 변신을 꾀하는 게임으로, PS2의 사양에 맞게 제작되어

PC에서 보이던 얼음판을 걸어다니던 선수들이라는 오명은 어느 정도 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라운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전술과 화려한 개인기의 사용, 양쪽 모두 만족시키는 게임으로

최신 실명데이터를 바탕으로 월드리그를 즐기고 싶은 게이머에게 반가운 게임이다.


나카타 히데토시(中田英壽)

피파의 이번 작품에서는 거의 모든 동작이 일본의 축구 스타,

나카타 히데토시의 모션 캡처에 의해 완성되었다.

표지와 오프닝 등등 게임 곳곳에 등장하는 그의 프로필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

 

프로필

- 1977122, 일본 야마나시현 출생

- O

- 175cm, 67kg

- 니라자키 고교 졸업

- 1995년 벨마레 히라츠카(J2 쇼난 벨마레) 입단

- 1998년 페루자로 이적

- 2000A.S 로마로 이적

 

A 매치 출전 시합

----------------------------------------------------------------

개최일 시합명 스코어 승부 출전 시간 등번호

2000-03-15 기린 챌린지 중국 전 0-0 draw 908

1999-06-06 기린 컵 페루 전 0-0 draw 848

1999-06-03 기린 컵 벨기에 전 0-0 draw 908

1999-03-31 기린 사료 사커 브라질 전 0-2 lose 908

1998-10-28 기린 챌린지 이집트 전 1-0 win 728

1998-06-26 98 월드컵 자메이카 전 1-2 lose 908

1998-06-20 98 월드컵 크로아티아 전 0-1 lose 908

1998-06-14 98 월드컵 아르헨티나 전 0-1 lose 908

1998-06-03 친선 시합 유고슬라비아 전 0-1 lose 908

1998-05-24 기린 컵 체코 전 0-0 draw 908

1998-04-01 월드컵 개최 기념 시합 2-1 lose 908

1998-03-07 다이너스티컵 중국 전 0-2 lose 908

1998-03-01 다이너스티컵 한국전 2-1 win 908

1998-02-15 친선 시합 호주 전 0-3 win 908

1997-11-16 98 월드컵 예선 이란 전 3-2 win 1188

1997-11-09 98 월드컵 예선 카자흐스탄 전 5-1 win 908

1997-11-01 98 월드컵 예선 한국전 0-2 win 908

1997-10-26 98 월드컵 예선 UAE 1-1 draw 908

1997-10-11 98 월드컵 예선 우즈벡 전 1-1 draw 378

1997-10-04 98 월드컵 예선 카자흐스탄 전 1-1 draw 908

1997-09-28 98 월드컵 예선 한국전 1-2 lose 908

1997-09-19 98 월드컵 예선 UAE 0-0 draw 728

1997-09-07 98 월드컵 예선 우즈벡 전 6-3 win 908

1997-08-13 친선 시합 브라질 전 0-3 lose 908

1997-06-28 98 월드컵 예선 오만 전 1-1 draw 908

1997-06-25 98 월드컵 예선 네팔 전 3-0 win 808

1997-06-22 98 월드컵 예선 마카오 전 10-0 win 908

1997-06-15 기린 컵 터키 전 1-0 win 788

1997-06-08 기린 컵 크로아티아 전 4-3 win 778

1997-05-21 월드컵 개최 기념 시합 한국전 1-1 draw 908

--------------------------------------------------------------------------

게임 모드

 

시범경기(エキシビション)

원하는 2팀을 선택하여 1시합을 펼친다.

 

팀 선택

원하는 2팀을 선택한다. 팀의 전체적인 능력을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オフェンス(오펜스) - 공격력

ディフェンス(디펜스) - 수비력

スピード(스피드) - 이동속도

トータル(토탈) - 종합 능력

--------------------------------------------------------------------------

사이드 셀렉트

 

조작하고자 하는 팀을 정한다.

팀을 선택한 뒤에도, 이 설정을 하지 않으면 조작할 수 없으니 자신이 원하는 팀의 방향으로 방향키를 눌러주자.

 

월드컵(ワールドカップ)

8개의 그룹 리그전

16강 토너먼트전

 

세계 각국의 대표팀을 선택하여 리그전과 토너먼트전을 펼친다.

8그룹으로 나뉘어진 그룹전을 펼친 뒤에, 각 그룹의 1, 2위가 토너먼트전을 벌인다.

 

팀 선택

 

참전하기를 원하는 팀을 선택한다.

조 선택

 

버튼을 누르면 랜덤 선택으로 조 배정을 바꿀 수 있다.

리그 조 랭킹전

 

랜덤으로 배정 받은 리그 조 안에서 2위안에 드는 것이 목표.

--------------------------------------------------------------------------

랭킹표 보는 법

P 시합수

W 승리수

D 무승부수

L 패배수

F 득점수

A 실점수

Pts 승점

--------------------------------------------------------------------------

토너먼트 스테이지

 

16강 토너먼트전을 벌인다.

--------------------------------------------------------------------------

퍼포먼스 차트

ゴール : 선수별 득점 랭킹을 본다.

カード : 선수별 경고, 퇴장 횟수를 본다.

チーム : 팀별로 차트를 표시한다.

トータル : 모든 팀의 종합 차트를 표시한다.

 

시합 시뮬레이트

컴퓨터가 팀별 성적을 기준으로 모의 시합을 펼친 결과를 볼 수 있다.

메뉴 아이콘의 시합 일정으로 들어간 뒤, 버튼을 누르면 가능하다.

 

23세 이하 월드 챔피언 십

(U-23ワールドチャンピオシップ)

 

세계 각국의 23세 이하 대표 16팀이 토너먼트전을 벌인다.

 

팀 선택

참전하기를 원하는 팀을 선택한다.

조 선택

버튼을 누르면 랜덤 선택으로 조 배정을 바꿀 수 있다.

월드컵 모드와는 달리, 처음부터 토너먼트의 상대를 정하게 된다.

토너먼트 스테이지

16강 토너먼트전을 벌인다.

 

리그전(リーグ)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독일의 4국의 리그중 한 시즌에 참가할 수 있다. 아쉽게도 K리그와 J리그는 없다.

 

트레이닝(トレーニング)

여러가지 상황을 정해두고 연습할 수 있는 모드.

 

팀 셀랙트

원하는 양 팀을 선택한다. 각국의 대표단이나 리그팀 양쪽 모두 선택 가능하다.

사이드 셀랙트

조작하기 원하는 팀을 선택한다.

공격을 원하면 오펜스(オフェンス), 수비를 원하면 디펜스(ディフェンス)쪽으로 패드를 옮긴다.

연습 메뉴

원하는 연습 메뉴를 선택한다.

 

--------------------------------------------------------------------------

PK練習 페널티 킥을 연습한다.

セットプレイ 세트 플레이를 연습한다.

練習試合 연습시합을 펼친다.

オプション 옵션 모드로 들어간다.

トレーニングおやめる 트레이닝을 그만하고 밖으로 나간다.

--------------------------------------------------------------------------

 

세트 플레이 조작

프리킥(フリーキック)

원하는 프리킥 위치를 정한 뒤

세트 플레이 연습을 할 수 있다

 

코너킥(コーナ)

원하는 사이드를 선택한 뒤

코너킥 연습을 할 수 있다

 

드로우 인(スローイン)

원하는 드로우 인 위치를 정한 뒤

드로우 인 연습을 할 수 있다

 

골키퍼 유무 (ゴールキーパ)

ON / OFF

 

팀 관리(チームマネージメント)

게임 도중 메뉴 아이콘의 우측에서 4번째 운동복 아이콘을 클릭하면 팀 관리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스타팅 멤버와 포지션, 전술 등을 정할 수 있으므로 좀 더 즐기고 싶은 게이머들은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

물론 시합 중에도 설정이 가능하지만,

시합이 끝나면 다시 초기화되므로 게임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기본 전술을 정해두는 것이 좋다.

 

팀 관리의 종류

스타팅 멤버 교대(スターティングメンバー) :

스타팅 라인업을 정하고, 시합중에 선수 교대를 하고자할 때 선택.

IGM :

시합중의 전술을 선택할 수 있다. 셀렉트 버튼으로 시합 중에 사용.

키커 선택(キック) :

프리 킥, 페널티 킥, 코너 킥, PK전에서의 공을 찰 선수를 결정한다.

 

스타팅 멤버 / 선수 교대

빼내길 원하는 선수에서 버튼을 누른 뒤,

넣길 원하는 선수에서 버튼을 누르면 선수 교대를 할 수 있다.

 

Pos(포지션)

공격수

RF 라이트 포워드

CF 센터 포워드

LF 레프트 포워드

ST 스트라이커

 

미드필더

RM 라이트 미드필더

RW 라이트 윙

CM 센터 미드필더

LM 레프트 미드필더

LW 레프트 윙

DM 수비형 미드필더

AM 공격형 미드필더

AV 공격형 수비

 

수비수

RB 라이트 백

RWB 라이트 윙 백

CB 센터 백

LB 레프트 백

LWB 레프트 윙 백

SW 스위퍼

GK 골키퍼

 

선수의 능력치 보는 법

FIT 휘트니스 체력 스테미너의 수치

SPD 스피드 주력의 수치

SHT 슈팅 슛의 강도의 수치

PSS 패스 패스의 정확도 수치

STR 스트랭스 힘의 수치

HDR 헤딩 헤딩의 능력 수치

BC 컨트롤 드리블의 테크닉 수치

TKL 태클 적을 차징하는 능력 수치

KSK 골키퍼 스킬 키퍼의 볼 세이빙 능력 수치

KPS 골키퍼 포지셔닝 키퍼의 위치 선정 능력 수치

KAG 골키퍼 어그랙션 골키퍼의 적극성 수치

 

IGM이란

인 게임 매니지먼트의 약자. ‘포메이션 설정작전 설정을 한 세트로 묶어 설정한 뒤, 등록하여 시합 중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IGM인 것이다. 게임 초반에는 수비형태로 나가다가 리드하게 되면 공격 형태로 바꾸는 등의 실시간 작전 변경이 가능하다. 등록된 IGM을 사용하는 방법은 셀렉트 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화면에 IGM의 번호가 표시되고, 다른 명령을 내리기 전까지 그 전술을 사용하게 된다. , 프리킥이나 드로우 인, 코너킥 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

 

IGM의 설정

IGM은 총 3가지의 타입의 저장이 가능하다.

수비시, 공격시, 평상시의 3가지로 나누어서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시합 시작시에는 IGM 1번으로 자동 전환되므로 알아두자.

 

포메이션, 작전

포메이션(フォーメーション)과 작전설정(作戰設定)의 전환.

 

IGM 번호

저장하고자하는 IGM의 번호을 정한다.

 

기본 포메이션 설정

기본 틀이 되는 전형적인 포메이션을 정한다.

 

5-3-2

카운터 어택을 노리는 수비 중심의 포메이션. 이탈리아 대표팀이 사용한 카테나치오벽으로 유명하다.

기본적으로 수비 라인에서 공을 돌리며 찬스를 잡는 상급자용 포메이션이라 할 수 있다.

수비에 있어서는 다섯 명의 디펜더인 파이브 백을 이용하여 기존의 4명의 수비수보다 스루 패스에 강하다. 하지만 5명의 포진의 형태가 V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직선적인 공격에는 강하지만 DF라인과 MF라인 사이에서는 공간이 생기는 위험 부담이 있다. 이것은 중반이 약한 5-3-2를 노릴 수 있는 대표적인 공격 방법으로, 5-3-2포메이션 사용자라면 5명의 수비를 믿고 MF에서 무리하게 공을 뺏으려 하지 않는다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공격의 수가 부족하다는 것이 이 포메이션의 단점이다. 실질적인 2명의 공격수인 투톱과 공격형 미드필더 2명이 있지만 미드필더의 경우 디펜더로부터 공을 이어주는 역할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확실한 찬스가 아닌 상태에서 MF라인을 넘게 되면 공을 이어가기가 힘들다. 수비의 견고함을 이용하여 후반부에서 공을 돌리다가, 상대가 이쪽으로 넘어오는 순간 사이드 체인지나 스루패스를 이용한 공격법이 유효하다.

 

4-3-3

고전적인 포메이션으로, 밸런스를 중시한 타입이다.

미드필드에서 3명의 공격수로 이어지는 흐름을 살리는 것이 포인트.

수비에 있어서는 4명의 수비수가 좌우로 넓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최종 수비수 2명이 수비 라인을 올리는 순간에 스루 패스를 당하게 되면 위험해지므로 수비형 미드필더와의 역할 분담이 중요하다.

2명의 공격형 MF는 주로 사이드 쪽의 공격을 맡는다. 다른 포메이션에 비해 센터링에 의한 공격이 유효하므로 이 방법을 이용하며 익숙해지는 것을 권한다. 조금 더 익숙해진다면 MF를 중앙에서 활용하여 상대 수비를 끌어내는 공격법도 사용할 수 있다.

 

4-4-2

현대 축구에서 유행하는 포메이션으로, 미드필드를 두텁게 한 것이 특징이다.

공격과 수비의 균형이 가장 잘 맞는 전천후 포메이션.

수비에 있어서는 좌우 일렬로 늘어선 수비수 덕분에 사이드 센터링에서의 공격에 강하다.

하지만 공을 받은 뒤 클리어 하는 과정에서 MF까지 확실하게 이어주기가 어려우므로 주의해야한다.

직선적인 스루 패스에도 약하므로 공격수를 확실히 마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격수인 투톱의 아래에 공격형 미드필더가 한 명 있어 공격에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미드필더와 공을 주고받으며 중앙 돌파를 시도할 수도 있고, 투톱이 사이드에서 센터링을 올린 경우 공을 받을 공격수도 이 공격형 미드필더가 된다. 또한 사이드 라인이 수비에서 공격까지 확실하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기회가 날 경우 2번의 패스로 공격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3-5-2

4-4-2에서 더욱 더 허리를 강화한 형태로, 최근에 등장한 포메이션이다.

미드필더가 많으므로 다양한 공격 패턴을 가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수비형 포메이션은 아니지만, 강력한 MF라인을 가지고 있어 중반에서부터 프레스를 가하기 편리한 포메이션이다. 하지만 3명의 수비수로 사이드에서부터의 공격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을 쫓기보다 공격수를 쫓아 센터링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수비법이 유효하다. 스위퍼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공격에 있어서는 균일한 밀도(?)로 분포하고 있는 선수들을 활용하여 3각형 혹은 4각형으로 패스하며 전진하는 방법이 강력하다. 중반에서의 위압감이 강하므로 이것을 공격까지 이어가는 것이 중요. 또한 두터운 공격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공격이 실패한 경우에도 계속해서 공격을 시도할 수 있는 박력이 필요하다.

 

3-4-3

선수들이 넓게 포진하고 있어 일정 수준 이상의 패스워크가 필요한 완전한 공격형 포메이션.

높은 공격력으로 유명한 네덜란드 대표팀이 사용하는 포메이션이다.

득점의 찬스도 많지만 그만큼 실점의 위험도 높다.

2명의 스토퍼와 1명의 스위퍼로 구성된 수비수는 각각 존 디펜스를 하는 것이 좋다. 프레스로 자칫 공간이 생기면 상대의 공격이 너무나도 쉬워지게 된다. 또한 공을 수비 시 빼앗은 공을 클리어 할 때에도 3명의 협력에 의한 숏 패스로 클리어 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또한 디펜더가 공격에 참여하는 오버랩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MF라인으로 공을 넘긴 뒤에는 자신의 진영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두터운 공격진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반으로부터 계속된 패스로 공격의 찬스를 만들기 쉽다. 전통적인 사이드로부터의 공격도 쉽지만, 중앙돌파의 박력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공격형 MF에서 CF로의 스루 패스 연결이 쉬우므로 자주 사용하여 키퍼와 1:1 상황을 만들어 득점을 노리자. 하지만 이쪽 역시 스루 패스에 약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작전 설정

 

OFFENSE STYLE(アタッキング)

카운터 어택(カウンターアタック) : 적에게 볼을 빼앗은 순간 적진으로 돌파해 들어가는 스타일.

볼 킵핑(ボールキープ) : 패스를 주고받으며 찬스가 생기면 공격해 들어가는 스타일.

중립(ニュートラル) : 평범하게 공격해 들어가는 스타일.

 

DEFFENSE STYLE(ディフェンス)

프레스(プレッシャ)-적극적으로 상대를 억누르며 공을 쫓는 스타일.

슈퍼 디팬시브(スーパーディフェンシブ)-골 앞을 집중적으로 지키는 스타일.

중립(ニュートラル)-평범하게 수비하는 스타일.

 

키커 설정(キッカー)

좌측 코너킥 : コーナー

우측 코너킥 : コーナー

프리킥 : フリーキック

페널티킥 : PK

PK: PK

 

각 상황에 맞는 키커를 설정할 수 있다.

아래쪽에 표시되는 선수의 능력치를 보고 정하는 것이 좋다.

PK전에는 순서대로 5명을 선택해야한다.

 

커스터마이즈

선수와 팀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커스터마이즈의 종류

 

플레이어 에디트

게임 내에 등록되어있는 선수를 원하는 모습으로 개조정인(?)화 시킬 수 있다.

오리지널 선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플레이어 데이터(プレイヤデーター)

선수의 특성치를 조정한다.

 

포지션(ポジション)

선수의 포지션을 조정한다.

 

백넘버(ナンバー)

선수의 백넘버를 조정한다.

 

머리 모양(ヘアータイプ)

선수의 헤어스타일을 결정한다.

 

머리 색(ヘアーカラー)

선수의 머리색을 결정한다.

 

피부색(スキンカラー)

선수의 피부색을 결정한다.

 

안면 모양(フエイスタイプ)

선수의 얼굴 모양을 결정한다.

 

수염(ヒゲ)

선수의 수염 여부를 결정한다.

 

팀 에디트

유니폼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ホーム)

홈과 어웨이 유니폼의 종류를 정할 수 있다.

 

셔츠, 슈츠, 삭스(シャツショツソックス)

웃옷과 아래옷, 그리고 양말의 색을 정할 수 있다.

 

스타일 선택(スタイル)

유니폼의 스타일을 바꿀 수 있다.

 

이적

그룹과 그룹 사이에서는 선수들의 이적이 가능하다. 이적 시에는 이적 금액이 소요된다.

한 선수는 60번까지 이적이 가능하며, 한 팀은 16명에서 32명 사이로 이루어져야한다.


조작 방법

 

조작 선수

 

위와 같은 마크가 발 밑에 붙어 다니는 선수가, 현재 플레이어가 조작할 수 있는 선수이다.

마크 주변에 있는 화살표는 패스 인디케이터라 칭한다.

조작하고자하는 선수를 바꾸고 싶을 때는, ×버튼을 누른다.

 

공격시의 조작

 

패스 인디케이터

패스를 하고자하는 방향에 아군이 있을 때에는 공을 가진 선수 주변에 패스 인디케이터라는 화살표가 생긴다. 패스의 안전도 여부에 따라 화살표의 색을 다음과 같이 구별할 수 있다. 패스조차 컴퓨터가 지시해주는 시대가 온 것인가.

 

스루 패스의 경우는 위의 인디케이터보다는 공을 받을 선수와 그를 마크하는 선수의 움직임을 보고 질러주는 것이 좋다. 또한, 공을 받고자하는 아군이 화면밖에 있을 때는 다음과 같은 화살표로 아군의 위치를 표시해준다.

 

그라운드 패스 - 방향키 + ×

패스 타깃을 정한 뒤, 가장 안전하게 공을 전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공을 굴려서 아군에게 전해주는 일명 숏 패스. 서서히 공을 돌리며 찬스를 만들기 좋으며, 확실하게 공을 전해주고자 할 때 사용한다. 공을 트래핑하는 시간을 없애고 다시 패스하기 위해서는, 타깃이 된 선수가 공을 받기 전에 미리 X버튼을 누르자.

 

로빙 패스 - 방향키 +

수비시에 조금 더 정확히 클리어 하거나, 멀리 있는 아군에게 공을 전해줄 때 사용한다. 가장 많은 사용 용도는 센터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페널티에리어 좌 우측에서 공을 가지고 있는 경우 페널티에리어 안쪽을 방향키를 누르고 로빙 패스를 하면 센터링이 된다. 공이 뜬 뒤 적절한 타이밍에 슛 버튼을 누르면 상황에 따라 다양한 다이렉트 슛을 날릴 수 있다.

 

스루 패스 - 방향키 + L1

정확히 우리편 선수가 있는 위치로 공을 차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조금 앞으로 질러주는 패스를 말한다. 수비수 여럿을 단번에 뒤로하고 뛰어나오기 때문에 상대 진영 페널티에리어 근처에서 성공한다면 골키퍼와 1 : 1 상황을 만들기 쉬워진다.

다른 용도로는, 앞에 다른 선수가 없는 공간이 생겼을 때 미리 공을 차두고 달리는 방법으로 드리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이 있다.

 

대쉬 - 방향키 + 버튼 연타

대시를 위해서는 항상 버튼을 연타해야만 한다. 대시를 한다고 정지 동작이 특별히 커지거나, 슛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니, 습관화하도록 하자.

 

볼 킵 - R1버튼

드리블이나 대시를 중단하고 갑작스럽게 공을 멈출 때 사용한다. 급격한 방향 전환에 유용하다. 뒤쫓아오는 수비수를 속이거나, 계속 드리블 할 것을 예상하고 슬라이딩 태클을 시도하는 수비를 흘리는데 사용하면 좋다.

 

점프 - L2버튼 탭

드리블 도중 L2버튼을 짧은 시간동안 누르면(-Tab) 공과 함께 선수가 점프하게 된다. 상대의 슬라이딩 태클을 피하는데 굉장히 유효하며, 골키퍼와의 1 : 1 상황에서도 유용하다. 점프 후에 패스와 슛 등을 선입력하면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션의 동작으로 변화한다. 특히 페널티에리어에서의 점프 후의 슛은, 슬라이딩 슛으로 발동되기 때문에 키퍼의 옆으로 비껴서 차 넣기가 쉽다.

 

스텝 오버 - L2버튼 홀드

드리블 도중 L2버튼을 긴 시간동안 누르면(홀드-hold) 선수를 옆 걸음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점프와 같은 용도로 상대의 슬라이딩을 피하는데 유용하다. 점프보다 유지 시간이 짧으며 다시 공을 정상적으로 드리블 할 수 있게되는 회복 속도도 짧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지만 더욱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공이 그라운드에 붙어있으므로, 사용 후 선입력으로 인한 모션의 변화는 없다.

 

회전 - L1버튼 탭

드리블 도중 L1버튼을 짧은 시간동안 누르면 선수가 공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드리블을 한다. 농구의 피벗도 아니고 이러한 기술이 왜 필요한지 의문을 갖겠지만, 의외로 숄더 태클을 피할 수 있으며 뒤 돈 상태에서 태클이 들어오면 파울을 유도하는데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대가 태클을 많이 사용한다면 회전을 이용하자. 뒤에 설명할 플립 오버의 시작이 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플립 오버 - L1버튼 홀드

회전 후에 발뒤꿈치로 공을 차올려 앞으로 보낸다. 발생하기 위해서는 회전과 공을 차올리는 시간이 필요하고, 다시 공을 받기까지의 공백도 커서 혼란한 곳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골키퍼와의 1 : 1상황에서는 절대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자. 패널티 에리어에 들어서는 순간 미리 사용하면, 회전하는 동안 키퍼가 나오므로 적절한 타이밍에 공을 차올리게 되어 키퍼를 젖힐 수 있다.

 

- 방향키 + 버튼

상대 진영에서 O버튼을 누르면 슛을 할 수 있다.

이 때, 함께 누르는 방향키는 골문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응된다.

 

수비시의 조작

 

조작 가능한 선수 바꾸기 - ×버튼

수비중에 X버튼을 누르면, 공에서 가까운 선수로 커서가 옮겨가 조작이 가능해진다.

공중볼을 처리할 때에는 X버튼을 적절히 활용하여 반드시 근처의 선수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다음 동작을 입력하는 것이 좋다.

 

대쉬 - 방향키 + 버튼 연타

 

태클 - 버튼

어깨를 이용하여 상대와 밀착한 뒤, 발로 공을 빼앗는다.

만일 공이 확실하게 빼앗아지지 않았다면 대시를 이용해서 탈취(?)하자.

상대의 배후보다는 측면이나 정면에서 시도하는 것이 성공 공을 빼앗기 쉽다.

 

슬라이딩, 하드 태클 - ×버튼

상대가 가진 공을 향해 슬라이딩 태클을 한다. 공을 빼앗을 수 있는 범위는 상당히 넓지만, 실패시의 경직이 크다는 위험이 있다.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측면, 정면에서 노리는 것이 좋다. 하지만 등뒤에서 태클을 하게되면 파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주의하자. 상대의 그라운드 패스를 인터셉트하는 용도로 사용해도 좋다.

 

어택 - R1버튼

말 그대로 상대를 향해 구타 공격을 행한다. 만일 심판이 화면 안쪽에 보인다면 틀림없이 경고를 받을만한 기술이다. 하지만 적절히 사용한다면 우정 파괴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지상에서 1 : 1 마크 시에는 물론이고, 공중 볼을 다툴 때에 미리 입력해두면 상대가 공중에서 넘어지는 더없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페어 플레이 정신에 어긋나는 사도의 기술이므로 플레이어 스스로 억제하자.

 

IGT 디펜스 - L2버튼 / R2버튼

IGT, ‘인 게임 택틱스의 약자로 게임 도중 전술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IGT로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선수 이외의 선수의 방어 형태를 정해준다. IGT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프레스 - L2버튼

많은 선수가 공을 가진 상대에게 프레스를 가하며 공을 빼앗는다.

 

오프 사이드 트랩 - R2버튼

수비수의 최종 라인을 끌어올려서 상대를 오프 사이드 트랩에 빠뜨린다.

 

공중볼의 처리

센터링이나 골킥, 로빙 패스 등으로 공이 공중에 떴을 때 공에서 가까운 선수가 행할 수 있는 행동들이다.

 

헤딩 숏 패스 - X버튼 홀드

발 아래로 공을 찍어내려 가까운 곳으로 보낸다. 주변에 공을 받을 아군이 있다면 사용하자.

 

헤딩 로빙 패스 - 버튼 홀드

머리 너머로 공을 쳐 올려 패스한다. 다시금 공중 볼을 다투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다. 센터링 후 공중 볼 다툼 상황에서 헤딩 로빙 패스로 공을 페널티에리어 안의 다른 선수에게 다시 띄워준 뒤 다이렉트 슛을 사용하면 키퍼를 속일 수 있다.

 

헤딩 슛 - 버튼 홀드

섬세한 헤딩으로 골문을 향해 공의 각도를 틀어 날린다. 다른 다이렉트 슛에 비해 발생 시간이 짧고 높이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센터링 후, 너무 이른 타이밍에 누르면 공이 도달하기 전에 뛰어올라 공이 머리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자.

 

발리 숏 패스 - ×버튼 2회 탭

발리 킥으로 짧은 패스를 한다. 주변에 서포트 해주는 아군이 있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리 로빙 패스 - 버튼 2회 탭

발리 킥으로 로빙 패스를 한다. 상대의 허리를 넘는 위험한 포즈로 공을 차지만, 파울의 염려는 없다. 공을 클리어할 때, 헤딩보다 멀리 보낼 수 있다. 주변에 상대편이 있을 때는 그다지 효용도가 없는 기술.

 

발리 슛 - 버튼 2회 탭

골문을 향해 발리슛을 날린다. 센터링 후 페널티에리어 안에 있는 선수에게 공이 비교적 낮게 날아온 경우 발동되는 기술. 성공률은 조금 낮지만, 주변에 방해하는 수비수가 없을 경우 강렬한 파워로 높은 득점력을 가지는 기술.

 

오버 헤드 슛 - 버튼 2회 탭

진행 방향과 반대로 돌아선 뒤, 머리 위로 발을 올려 회전하며 공을 차 넣는다. 센터링 된 공이 비교적 높은 괘도로 날아올 때 발동되는 기술. 상대 수비수의 헤딩보다는 성공률이 낮지만, 역시나 강력한 파워의 슛을 날릴 수 있다. 트랩핑 후에 사용할 수도 있다.

 

트랩핑 - 방향키

공중 볼이 날아오는 경우, 공이 날아오는 방향으로 방향키를 눌어주면 가슴으로 볼을 트랩핑하게 된다. 여기서 다른 행동을 지시하면 다른 기술로 연결할 수 있다.

 

골키퍼의 조작

 

공을 향해 달린다 - L1버튼 홀드

키퍼와 상대 공격수가 1 : 1 의 상황이 되었을 때는, 되도록 상대와의 거리를 좁혀 슛의 각도를 좁히는 것이 유리하다. L1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상대를 향해 나아가며, 공과 가까워지면 공을 향해 슬라이딩 세이브를 한다. 스위퍼의 조작과 함께 적절히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핸드 스로우 - 버튼

키퍼가 공을 잡은 뒤, 가까운 선수에게 손으로 던져준다.

타깃이 되는 선수가 공을 받을 확률이 높으며, 천천히 공격을 시작해나갈 때 사용하면 좋다.

 

롱 킥 - / ×버튼

공을 멀리 차보낸다.

정확도는 그다지 높지 않지만, 센터 서클을 넘어선 위치로 공을 보내기 때문에 공격의 찬스를 잡기 쉽다.

 

볼을 떨어뜨린다 - L1버튼

공을 잡고 있다가

놓을 수 있다

 

키퍼가 직접 공을 드리블하여 페널티에리어 밖으로 나가고 싶을 때 사용한다. 좀 더 아군에게 접근 한 뒤 공을 줄 수 있어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골문이 비어있게 되므로 주의하자. 페널티에리어 밖에서의 키퍼의 권한은 일반 선수와 동일하다.

 

볼 데드 시의 조작

프리킥, 코너킥, 골킥, 드로우 인 때의 조작을 설명한다.

 

공격시

타겟의 방향 설정 - 방향키

공을 던지거나 찰 방향을 선택한다.

 

던지기 / 차기 - X버튼

X버튼을 이용해 파워를 모으고, 알맞은 곳에서 버튼을 때면 그 힘만큼 공이 날아간다.

 

마크된 선수에게 던지기 / 차기 - / / 버튼

각 마크에 해당하는 선수에게 공을 던지거나 찬다.

 

방어시

선수의 이동 - 방향키

방향키를 이용하여 선수를 움직일 수 있다.

공을 받으리라 예상되는 선수 앞쪽을 마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리킥이라면 벽의 틈으로 이동하여 벽을 견고히 하자.

 

조작 선수 변경 - ×버튼

X버튼으로 조작하는 선수를 바꿀 수 있다.

 

마크된 선수를 집중 수비하기 - / / 버튼

버튼 마크가 표시된 선수를 2 : 1로 집중 수비하려면 각 마크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예측이 적절했다면 공을 빼앗기 쉬워진다.

 

패널티 킥 - 키커

차는 방향 선택 - 방향키

좌측 혹은 우측, 중앙으로 방향키를 누른 상태에서 킥을 한다.

 

- 버튼

방향키와 함께 O버튼을 누르면 공을 찬다.

 

키커의 변경 - ×버튼

키커를 변경할 수 있다. , 트레이닝 모드와 PK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키커의 위치 변경 - 버튼

우측이나

좌측으로 이동 가능

키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적에게 심리적인 부담감을 줄 수 있다.

 

패널티 킥 - 골키퍼

키퍼 위치 선정 - 방향키

중앙에서

좌측으로 이동

키퍼의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 만약 오른쪽으로 이동한 뒤라도, 왼쪽이나 가운데로 차는 공을 좌측 점프 하나로 막을 수 있으므로, 되도록 이면 한쪽으로 이동해두는 것이 좋다. 3지선다를 2지선다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키커가 공을 차는 방향을 빠르게 선택하는 경우 사용할 수 없는 기술.

 

점프 - 방향키 + / / 버튼

방향키와 함께 버튼을 누르면 그 방향으로 점프를 하여 세이브 할 수 있다.

키퍼가 현재 서있는 위치로 공이 날아오는 경우 아무런 조작 없이 세이브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