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본질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2008)
책소개
기독교 전반에 관한 분석과 비판을 시도한다. 기독교의 입장에서 서서 기독교를 비판하며 신학과 사변적인 종교철학을 포괄적으로 비판한다. 종교, 특히 기독교의 본질은 인간심정의 본질에 불과하며 그러므로 신학의 본질은 인간학이라고 주장한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하나는 종교를 인간의 본질과 일치시키는 관점에서, 다른 하나는 두 범주의 모순을 지적하는 방향에서 전개한다. 동시에 기독교의 오류와 함께 기독교를 옹호해주는 관념론 철학, 특히 헤겔 철학의 오류를 밝히고 정신이나 신 대신 자연, 존재, 물질을 근원적인 존재로 설정하는 유물론 철학의 정당성을 규명한다.
기독교 비판을 통한 최종 목표는 결국 휴머니즘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인간해방, 즉 종교적인 소외로부터 해방된 인간의 실현이다. 신이 아니라 인간이 중심이 되는 종교, 정신이 아니라 자연이 주체가 되는 철학의 복원이 이러한 휴머니즘의 실현에 필수적인 전제이다.
목차
폭풍처럼 몰아친 책 『기독교의 본질』|강대석
제1판 서문
제2판 서문
제3판 서문
서론
제1장 일반적인 인간의 본질
제2장 일반적인 종교의 본질
제1부 종교의 참된, 인간학적 본질
제3장 오성의 본질로서의 신
제4장 도덕적 본질 또는 율법으로서의 신
제5장 육화의 비밀 또는 심성본질로서의 신
제6장 고통받는 신의 비밀
제7장 삼위일체와 성모의 비밀
제8장 로고스와 신적 형상의 비밀
제9장 신 안에서 세계창조 원리의 비밀
제10장 신비주의 또는 신 속의 자연의 비밀
제11장 섭리와 무에서의 창조의 비밀
제12장 유대교에서의 창조의 의미
제13장 심정의 전능 또는 기도의 비밀
제14장 신앙의 비밀---기적의 비밀
제15장 부활과 초자연적 탄생의 비밀
제16장 기독교적 그리스도 또는 인격신의 비밀
제17장 기독교와 이교의 차이
제18장 독신생활과 수도원 생활의 기독교적 의미
제19장 기독교적 천상 또는 인격의 불멸성
제2부 종교의 참되지 못한, 신학적 본질
제20장 종교의 근본적인 입장
제21장 신의 실존에 나타나는 모순
제22장 신의 계시에 나타나는 모순
제23장 신의 본질 일반에 나타나는 모순
제24장 사변적 신론에 나타나는 모순
제25장 삼위일체에 나타나는 모순
제26장 성체에 나타나는 모순
제27장 신앙과 사랑 사이의 모순
제28장 결론
부록: 설명.주의사항.인용구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 『기독교의 본질』의 저술목표는 종교, 특히 기독교의 철학적인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종교비판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철학비판적인 의미도 갖는다. 포이어바흐는 이 책에서 기독교 전반에 관한 분석과 비판을 시도한다. 기독교의 입장에서 서서 기독교를 비판하며 신학과 사변적인 종교철학을 포괄적으로 비판한다. 포이어바흐는 종교, 특히 기독교의 본질은 인간심정의 본질에 불과하며 그러므로 신학의 본질은 인간학이라고 주장한다.
저서 전체를 관철하고 있는 이러한 이념을 포이어바흐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한다.
하나는 종교를 인간의 본질과 일치시키는 관점에서이고, 다른 하나는 두 범주의 모순을 지적하는 방향에서이다. 동시에 포이어바흐는 기독교의 오류와 함께 기독교를 옹호해주는 관념론 철학, 특히 헤겔 철학의 오류를 밝히고 정신이나 신 대신 자연, 존재, 물질을 근원적인 존재로 설정하는 유물론 철학의 정당성을 규명하려 한다.
기독교 비판을 통해 포이어바흐가 제시한 최종 목표는 결국 휴머니즘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인간해방, 즉 종교적인 소외로부터 해방된 인간의 실현이었다. 신이 아니라 인간이 중심이 되는 종교, 정신이 아니라 자연이 주체가 되는 철학의 복원이 이러한 휴머니즘의 실현에 필수적인 전제가 된다.
'시나리오 > 신화-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은 우리 곁에 있는가 -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오종우, 2011) (0) | 2023.01.02 |
---|---|
마음의 요가 - 인도 최고의 지성과 영성, 비베카난다의 말 (스와미 비베카난다, 2020) (0) | 2023.01.02 |
바이블 쇼크 - 지금까지 전혀 들어본 적 없는 성경 이야기 (조 코박스, 2009) (0) | 2022.12.21 |
세계 7대 불가사의 - 신화와 역사로 읽는 (이종호, 2001) (0) | 2022.12.21 |
근대 영국철학에서 종교의 문제 - 이신론과 자연종교 (이태하, 2018) (0) | 2022.08.27 |